이 주제에 대한 대체적인 접근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불신, 언행불일치, 알고보니 나쁜 놈이었더라, 세상에 믿을 놈 하나도 없다... 류의 절망이다. 그래서 상당수의 사람들은 서로를 믿지 못하고 살아가고, 또 상당수의 사람들은 종교심에 기대어 그저 사람을 (신뢰의 대상이 아닌) 사랑의 대상으로 규정한다.
하지만 불신하는 인간을 사랑하는 것만큼 어려운 일도 없다. 누군가에게 실망감, 배신의 불안감을 품고 그 사람을 온전히 사랑할 수 있을까. 원론적으로는 옳다고 생각하는 이 '입장'도, 나는 현실적으로는 인간 자체에 대한 환멸감에서 벗어나기 힘들다고 본다. 계속 뒷통수를 맞으면서도 사랑하는 순전한 마음을 유지한다는 건, 어떤 의미에서 자학적인 행위다.
사물의 '선악미추'의 잣대가 극명하면 입장 정리가 쉽겠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그 경계가 모호하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저 사람 참 좋아'라고 말하는 평가에는 다양한 함의가 숨어 있고 드러나지 않은 다양한 입장의 차이가 존재한다. 전 인격적인 부분에서가 아니라 시간 궤적의 판단에서도 그렇다. '저 사람 쓰레기야'라고 말할 때는 어떤 시점의 어떤 행위에 의해 판단된 단일 행위, 혹은 특정 상황의 반복적 행위를 통해 갖게된 평가이기도 하다.
뭐 대단한 이야기를 하려던 건 아니다. 단적으로 말해 나는 한번 잘못한 사람, 혹은 여러번이라도 특정한 영역에서 잘못된 행위를 하는 이들에 대해 신뢰냐 불신뢰냐의 on/off(모 아니면 도)로 그 사람을 바라보는 잣대에 반대하려는 것이다. 사람은 대단히 복잡하고 또 섬세한 존재라서, 어떤 명확한 이성적인 판단이 서지 않은 상태에서도 절망적인 선택을 하기도 하고 어느 시점에서는 그 선택을 후회하고 다시 다른 사람이 되기도 한다.
누구나 악행을 할 수 있다. 그것을 정당화할 수는 없겠지만 내가 살아오면서 행한 지독한 잘못들을 돌아본다면, 혹은 내가 성공하여 더 많은 권력과 힘이 있었다면 '할 수도 있었을' 잘못을 추측컨데 나는 누군가에겐 흔적도 없이 제거되었으면 좋았을 사람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반대로 나또한 누군가가 내 시야에서 사라지길 소원했던 적이 있다.
기독교라는 종교에 비출 때 인간은 스스로의 노력과 연마에 의해 신을 알게되는 것이 아니라, 마치 선물처럼 주어지는 신과의 사귐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것이 성취가 아닌 '구원'이고 '은혜'라는 말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것이다. 나는 기독교인들조차 어떤 악인에 대해 악행을 넘어 그 사람이 아예 존재하지 않거나 지구 상에서 사라졌으면 좋겠다고 느낄 정도로 가혹하게 비난하는 것에 반대한다.
'사람을 신뢰하면 안 된다'는 말에는 일반적으로 지나치게 부정적인 정서, 느낌이 덧입혀져 있다. 사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그렇게 매사를 '인지'하며 살지 않는다. 지금도 우리는 은근히 누군가가 날 이해해주고 기대하지 않게 날 배려해주고 도와주고 지지해주길 기대한다. 때로 드물게 그런 경험을 하면 배신의 고통 속에 몸부림 치던 기억들이 눈녹듯 상쇄되기도 한다. 그렇지 않다면, 사람에 대한 절망감으로 가득찬 삶을 산다면... 아마도 지금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자살을 선택할 지도 모른다.
레 미제라블의 감동은 '용서'의 힘이다. 잘못된 선택을 한 그 사람에게 한번 더 '신뢰'하기로 결정해주는 마음이 그 사람에게 전달되는 경험이다. '넌 그런 행동을 할 사람이 아니야'... 모든 악행에는 이유가 있고 악인은 그 악행이 습관으로, 나아가 전 인격으로 바뀐 히스토리가 있다. 그것을 알고 싶어하지 않는 개별 인간들은 타인을 신뢰/불신의 on/off 평가 대상으로 치환하고 상대와 연결된 사회적 존재가 아니라 내가 다치지 않도록, 내 마인드콘트롤을 할 방법을 찾는다. 덮어놓고 사랑해주거나, 언젠가 너도 날 배신하겠지 라고. 어쨌건 그 판단 주체는 '너와 나'가 아닌 '오직 나'에 국한된다.
외롭다. 사람은 누구나 외롭다. 옆에 수많은 사람에게 둘러싸여 있어도 그러하다. 그 이유는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 그리고 적어도 내게 필요한 종교심은 누군가의 잘못을 지적하고서도 그 사람에 대한 신뢰의 마음을 잃지 않고 표현해주는 것이 아닐까...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