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준만 교수의 미국사 산책
:한국 기독교가 미국사 산책에 동참하길 바라며
강준만 교수가 만만치 않은 분량의 미국사 책을 냈다. 물론 강 교수는 이미 4년 전에 <한국 현대사 산책>이라는 18권짜리 대작을 낸 바 있으며, 2년 뒤에 다시 10권의 <한국 근대사 산책>을 낸 장본인이기도 하다. 사실 한때 단행본과 월간 <인물과사상>으로 대한민국의 대표 논객이었던 그는 언제부턴가 쟁점이 되는 정치 이슈와는 거리를 유지하면서 집필 활동에 자신의 내공을 쏟는 느낌이다. 어쨌거나 그의 신간은 항상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가 쓴 미국사는 어떤 책일까. 일단 분량부터가 만만치가 않다. 모두 15권으로 기획된 이 책은 이제까지 7권이 출판되었다. 그는 이 책에서 그간 역사학계에서 누구도 시도하지 않았던 통합, '통섭'이라는 시각에서 미국사를 읽어 내려 한다. 그간 역사학자들이 전문성이라는 미명 아래 특정 주제나 특정 시대에 국한된 파편적인 내용을 좁고 깊게 파는 것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녹아 있다.
또한 그는 "친미·반미 이분법이 우리의 미국에 대한 이해를 망치고 있는 것 같다"며 미국을 바라보는 객관적인 자세를 유지하려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른바 '미국인도 몰랐던 미국 역사의 진실'이라는 소개 글이 단순한 광고 카피 같지만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자는 하워드 진이나 노엄 촘스키처럼 미국에 비판적인 진보 학자들의 저서들도 활용했지만, 그들의 반대편에 있는 저자들의 목소리도 가감 없이 전달하려 했으며 "어느 한쪽만 과장되게 이야기하는 기존의 반(反)통합적 미국사와는 결별하고 미국의 명암을 동시에 살펴보려 했다"고 밝혔다.
나는 이 시리즈물을 읽기 시작하면서 기독인, 특별히 개신교, 장로교 배경의 기독인들이 이 책을 꼭 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특별히 종교적인 이유에서 그렇다. 지금도 우리나라는 크게 보면 기독인이 두 동강이 나 있다. 한편에서는 진보 진영을 지지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친미 집회를 하고 정치적 좌파들을 사단 취급한다. 또한 교파에 있어서도 폐쇄적이다. 루터나 칼뱅으로부터 비롯된 개신교의 역사, 교리에 대해서는 은혜로운 예화들 위주로 알려져 있으며, 개신교의 악행에 대해선 함구하기 일쑤다. 반대로(최근에 많이 소개되긴 했지만) 아나뱁티스트나 퀘이커 교도와 같은 평화주의적인 기독교에 대한 이해나 관심이 적고 때때로 그들을 이단시하고 정죄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책을 아직 읽지 않은 분들을 위해 몇 부분만 나누어 보자. 본서에서는 종교 개혁의 선구자로 불려지는 루터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들이 자주 언급되는데 그중 일부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루터는 농민 반란에 반대하는 편에 섰고 외형과 의식에서 가톨릭 예배의 색체와 허식의 많은 부분을 유지하는 등 보수적 개혁주의 노선을 걸었다. 1525년 반란을 일으킨 농민들이 '그리스도는 모든 인간을 자유롭게 하셨다'고 부르짖자 루터는 귀족들에게 반란을 일으킨 농민들을 모조리 죽이라고 촉구하면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폭도를 죽이는 사람은 옳은 일을 하는 것이다. …… 따라서 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나 비밀리에 또는 공공연히 때려 죽이고, 목 졸라 죽이고, 찔러 죽여야 한다. …… 만일 여러분이 이런 투쟁에서 죽는다면 여러분은 진정 축복받을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그보다 숭고하게 죽은 적이 없기 때문이다.'" (46쪽)
대체로 장로교에서는 루터가 가톨릭을 극복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자주 언급하는 편이지만 <기독교 강요>를 집필한 장 칼뱅에 대해서는 그 입장이 다르다. 한국 교계의 칼뱅 숭배는 바이블 수준이다. 물론 강 교수는 이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 준다.
"미겔 세르베투스가 삼위일체와 유아 세례를 부정했다는 이유로 불타는 장작 더미 위에서 그가 쓴 책들과 함께 불타 사라졌던 장면을 보자. …… 세르베투스는 말짱한 정신으로 서서히 불에 그을리면서 생살이 타는 고통을 오랜 시간 느끼며 죽어 가야 했다. 이 극악한 형벌의 이유는 오직 하나, 칼뱅과 다른 성서해석을 책으로 낸 행위뿐이었다. …… 칼뱅은 다음 일요일 검은 수도복을 입고 강단에 서서 그 화형은 위대하고도 꼭 필요한 일이며 정당한 일이었다고 찬양했다.(56쪽) …… 칼뱅의 예정설에 반대 발언을 하면 화형에 처해졌다. 술에 취해 칼뱅을 욕한 어떤 출판업자는 불타는 쇠꼬챙이로 혀를 찔린 다음 도시에서 추방되었으며 칼뱅을 위선자라고 불렀다는 이유로 처벌당한 사람들도 있었다. (58쪽) …… 일찍이 칼뱅은 '여성으로 하여금 복종하는 것에 만족하게 하라. 그리고 여성이 한층 우월한 성보다 열등하게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게 하라'고 주장했으며, 퓨리턴은 이 원리를 따랐다. (170쪽)"
특히 청교도들은 근면하고 금욕적인 모습으로 칭찬을 받기도 했지만 종교라는 미명 아래 많은 악행도 일삼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마녀사냥'이라 할 수 있겠는데 저자는 이에 대해서도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고 있다.
"유럽 전역에서 마녀 사냥이 절정에 이르렀던 시기는 1585년부터 1635년 사이의 약 50년 동안이었으며 마녀사냥으로 처형된 희생자의 수에 대해선 최소 50만 명에서 최대 900만 명으로 역사가들마다 견해가 다양하다. (188쪽) …… 마녀사냥꾼의 주요 마녀 감별법은 용의자를 물에 던지는 것이었다. 마녀 용의자의 팔다리를 묶고 담요에 말아 연못이나 강에 던져 가라앉으면 가족에게 무죄라고 위로하면 그만이었고 물에 뜨면 마녀라는 증거이므로 화형에 처해졌다. (192쪽) …… 고발된 마녀들은 대부분 중년 여자들로 자식이 없는 과부였다. 사회적 신분이 낮고 가정에 문제가 있고 다른 죄가 있다고 자주 고발당하고 이웃들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이었다. 이들이 퓨리턴 규범에 도전하는 것처럼 보인 게 문제였다. (196쪽)"
이뿐이랴. 미국 역사에 있어 청교도의 아메리카 이주와 독립 혁명은 역사책과 헐리우드 영화를 통해 자주 미화되었고 불행히도 우리는 그것을 비판 없이 흡수하곤 했다. 저자는 청교도들이 신대륙에서 인디언에게 행한 야만적 행동들도 가감 없이 보여 준다.
"백인이 인디언을 매우 잔혹하게 공격한 것은 원주민에 대한 퓨리턴의 태도에 기인하였다. …… '피쿼드 전쟁'이라 알려진 이 전쟁에서 백인들은 인디언 주민 600명을 살해하고 마을을 불태웠다. 성인 남자들은 모두 살해했는데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훗날 '사람들을 불태워 죽이는 광경은 차마 눈뜨고 볼 수 없을 정도로 참혹했다. 그러나 승리하는 데 있어 이것은 달콤한 희생처럼 보였는지, 이들은 자신들을 위해 이런 놀라운 일을 하신 신을 찬양하였다'고 썼다." (118~120쪽)
강 교수는 루터교나 장로교 등 종교 개혁 이후 우파에 해당하는 주류 개신교의 문제들을 지적하면서 오히려 주류로부터 핍박을 받은 퀘이커 교도들과 같은 신자들이 역사적으로 볼 때 인종 차별의 극복이나 평화주의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음을 지적한다.
"그러나 퀘이커 교도는 퓨리턴과는 달리 완전한 남녀평등을 지향했으며, 성과 계급도 구분하지 않았다. 교회 건물이나 행정 기구도 없고 집회소만 있을 뿐이었다. 월급을 받는 목사도 없었으며 예배를 볼 때엔 성령에 의해 감동받은 사람들이 차례로 돌아가면서 이야기하는 방식을 취했다. 폭스는 성서의 계명 '살인하지 말라'를 원뜻 그대로 취해 평화주의를 주장했다. 퀘이커 교도들은 철저한 평화주의자로서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찰스 2세 치하에서 퀘이커 교도 3,000명이 투옥되는 등 영국에선 박해를 받았기에 이들은 아메리카로 이주해 자신들만의 식민지를 원했으나 특허장을 얻을 만한 영향력이 없었다. (170쪽) …… 실제로 퀘이커 교도의 인도주의는 인디언에 대한 양심적인 대우와 흑인 노예에 대한 선구적인 반대로 나타났다. 이미 1657년에 일부 퀘이커 교도들은 기독교의 정신과 노예 제도의 상응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 (174쪽)
이 책을 읽다 보면 믿음의 선조들이 남긴 발자취에 때론 당혹스러워서 마음 한편이 쓰리기까지 하다. 이미 한국 사회에서 개신교의 위상이 바닥임에 분명한데 이 책을 통해 한국 기독교만 문제가 아니라 청교도와 개신교의 역사에서부터 기독인이 저지른 악행들이 문제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듯도 하다. 하지만 나는 오히려 이 책을 통해 기독교의 역사도 되짚어 볼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여전히 한국교회에서는 이단 시비를 통해 멀쩡한 목사를 매장시키려 들기도 하며 영적인 세계를 빌미로 마녀사냥에 버금가는 폭력을 일삼기도 하지 않은가. 특히, 미국에 대한 극단적인 평가들로 인해 한국교회 자체도 하나의 몸 된 지체가 되지 못하지 않은가. 강 교수의 모든 논지를 긍정할 필요는 없겠지만 그가 방대한 자료를 토대로 적어 나가는 미국사 산책의 여정에서 한국교회도 미국에 대한, 그리고 그 영향력 아래 있는 개신교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한 지평을 넓혀 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