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처럼 글쓰기, 글처럼 살기'를 꿈꾸며

Posted
Filed under 단문모음/기독교
성경을 큰 그림으로 읽기를 멈추자 소소한 변화가 생겼다. 성경의 각 본문들은 이른바 메타담론적인 특성을 지닌다. 그 본문이 그 자체로 독해되지 않고 다른 본몬과의 통일성 안에서 해석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인자는 '사람의 아들'이라는 뜻이 아닌 구약적 배경에서의 '그 단어'를 지칭한다. 
.
이런 일이 하나둘이 아니다. 각 성경의 서브텍스트들은 긴밀하게, 유기적으로 바라봐야 하고 메타담론으로서의 성경은 신적인 의미에서의 하나의 큰 그림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다분히 보수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 부분에 나는 대체로 동의한다. 교리의 중요성, 거룩한 경전에 대한 끊임없는 해석, 서로 충돌하지 않는 온전한 그림을 그리는 신학자들의 노력. 
.
내가 추구하는 실존적 성경읽기는 그런 의미에서 신학과 교리의 큰 그림을 해치지 않으면서 작은 그림 속으로 뛰어드는 행위와 같다. 적절한 비유가 있다면 <본 아이덴티티> 시리즈를 성경의 큰 그림으로 본다면 내가 추구하는 성경읽기는 <본 레거시>로 치부할 수 있겠다. 제이슨 본과 국가 간의 음모를 다루는 큰 그림의 내러티브가 있다면, 그 큰 그림 안에서 메인스트림이 아닌 이들이 겪는 소소한 로컬 내러티브가 <본 레거시>격인 셈이다.
.
교리와 구속사가 예수와 주요 제자들, 그리고 구약의 특정 왕들과 예언자들의 담론, 그리고 굵직한 행위에 대한 추적이었다면 그 안에 속한 소시민적 백성, 시민, 선교여행을 떠나지 않은 제자들, 일상을 영위해야 하는 신자들의 관점에서 메타담론을 바라보는 셈이다. 그것은 그 큰 그림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좀더 상상력과 직관, 실용적, 실존적인 측면에서 성경을 독해하려는 의미이기도 하다.
.
신학자들은 개별 인간사의 소소한 질문들에 관심이 없다. 아니 관심이 없다기 보다는 연역적이면서도 우주적인 관점에서 개별 인간의 소소한 이야기들을 접근한다. 악은 왜 존재하는가, 죽음 이후에는 어떻게 되는가. 이런 질문에 모두가 고개를 끄덕일 수준의 거대담론을 들이민다. 자잘한 생각들, 교리를 침해하는 이야기들은 부차적으로 치부되거나 배제되고 원리와 원칙으로 한발 물러나거나, 그 이면에는 우리가 명시적으로 알 수 없는 신적인 의미가 있다는 모호함으로 변질된다.
.
계시적 모호함을 유지하면서 성경을 소시민적으로 읽고 텍스트 간의 연결고리를 느슨하게 읽는 것. 성경의 영웅들, 주인공들이 아닌 그저 지나가는 사람들, 남겨진 사람들, 제자들의 이웃, 형제, 부모, 혹은 그 이후 이천년이 지난 지금의 나의 입장에서 바라본 예수의 길과 내 삶의 연속성, 불연속성, 죽음의 의미, 하나님 나라... 이런 생각들이, 다분히 새롭고 흥미롭다. 
.
그렇게 난 로컬 내러티브 안에서 성경을 읽는 중이다.
2016/11/04 20:28 2016/11/04 20:28